본문 바로가기

분류 전체보기1709

연구란 무엇인가 20190928 & 20200227 강서구 염창동 세상의 모든 이름과 홍보물을 사랑합니다. 이젠 정말 끝. 2020. 3. 5.
엄마의 바느질 : 마더메꼬 2020 봄 스커트 2020 S/S콜렉숀은 블랙입니다. 팬톤이고 뭐고 나는 몰라요. 그건 바로 너의 아미고 이젠 정말 끝. 2020. 3. 5.
엄마의 바느질 : 마더메꼬 2020 봄 원피스 사시사철 검정검정 노래 부르는 나를 위해 작년 여름 엄마는 묵직한 마 감촉의 검정 원단을 들여다가 품이 넓은 반팔 원피스를 만들어주셨다. 며칠 입고 출근해본 결과 생각보다 덥고 목 부분이 자꾸 뒤로 넘어가는 느낌? 앞뒤를 잘못 입었나 계속 신경쓰이는 그 느낌에 손이 가지 않았고 고민 끝에 수정을 요청 드렸다. 그리고 올해. 오오. 저는 좋습니다 ㅋㅋㅋ 어차피 여름 옷 치고는 좀 무겁고 꺼맸는데 이렇게 수선해 주시면 티셔츠와 함께 봄부터 입을 수 있지요. 목 뒤로 넘어가는 이유를 알았어. 품이 너무 크면 뒤로 넘어가더라고. 그래용? (갸우뚱) 모두가 사랑이에요. 이젠 정말 끝. 2020. 3. 5.
엄마의 떡 : 수수부꾸미 엄마는 수수 강매 후 마음을 진정시키고 잘 불려서 밥에 넣어보았으나 생각보다 맛이 없어서 더 큰 분노를 느꼈다고 한다. 그러던 차에 마침 탄수순이 딸이 온다고 하니 남은 팥도 전부 불려 떡잔치를 기획하셨다. 수수도 차수수, 메수수가 있어? 그럼 있지. 근데 나는 눈으로 봐서는 모르겠더라고. 그런데 가루를? 떡으로 해 보면 바로 알지. (메수수기만 해봐...) 차수수 [명사] 1. ‘찰수수(찰기가 있는 수수)’의 잘못. 2. ‘찰수수(찰기가 있는 수수)’의 북한어. 메수수 [명사] 메수수. (무주, 고창, 군산, 남원) 찰기가 없는 수수. 술을 만들 때 사용하거나 사료로 사용한다. (사료? ;;;;) 신기하네! 이게 붙네! 보기보다 찰기가 있지? 게다가 팥보다 이 떡살이 맛있어! 진짜 차수수 맞나보네. 계.. 2020. 3. 4.
엄마의 떡 : 팥시루떡 형편이 어려워 이리저리 이사를 다니던 시절. 엄마는 무거운 떡시루를 꽁꽁 챙겨 식구들의 원성을 샀다. 정작 그 시루를 쓰게된 것은 자식들이 다 자라 아줌마, 아저씨가 되었을 때. 떡 한 팩 정도는 마음껏 사먹게 되었을 때. 엄마의 투박한 떡이 더이상 고프지 않을 때였다. 자식들이 그러거나 말거나 엄마의 냉동실에는 언제나 쌀가루가 넘치고 쪄 놓고 남은 떡도 넘치게 되었다. "왜 이렇게 떡에 집착하는 거야. 먹고 싶을 때마다 조금씩 사먹으면 되잖아." "어릴 때 먹던 그 맛이 안나서 그래. 지금 떡은 다 맛이 없어." 준비물 : 찜기, 팥고물, 멥쌀가루, 찹쌀가루, 설탕 삶아서 설탕 버물버물한 팥고물과 멥쌀가루와 찹쌀가루를 섞어서 준비해주세요. 쌀가루에도 설탕을 약간 넣어주면 좋습니다. 시루가 등장하나 했는.. 2020. 2. 26.
엄마의 단골집 : 방앗간 아니고 제분소 강화도는 고구마도 유명하고 쌀도 유명하고 앞산 뒷산 밤과 도토리도 많아서 작은 읍내 안에도 무려 세 개의 제분소가 있다. 제분소 (製粉所) [명사] 곡식이나 약재 따위를 가루로 만드는 일을 전문으로 하는 곳. [유의어] 도정공장, 방앗간, 정미소 mill [명사] 방앗간, 제분소 (→watermill, windmill) gristmill [명사] 방앗간, 제분소 flour mill [명사] 제분기, 제분소 아무리 봐도 방앗간이지만 뭔가 전문적으로 느껴지는 이름 제분소. 가끔 엄마가 챔기름을 사러가는 곳이지만 오늘은 진짜 제분을 하러 간다. 갑자기 웬 수수? 앞집 할머니가 사달라고 하도 졸라서 한 되만 산다 했는데 두 되를 퍼가지고 문을 두드리는 거야. 내가 저울이 있나 됫박이 있나. 반으로 나눌 수도 없.. 2020. 2. 25.